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8)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8주차 학습일지 3: 카카오톡 채팅 역기획 알아보기 들어가며 이번 시간에는 카카오 기획자가 설명하는 역기획 실습 영상을 듣고 앞으로 진행할 역기획 프로젝트에서 진행 방법을 알아보려고 한다. 표지에 들어갈 내용 1. 소속 2. 제목 3. 소속 팀과 이름 4. 버전 5. 버전 업데이트 날짜 - 카카오에서는 맥북을 사용하기 때문에 대부분 Key Note 툴을 사용한다. 버전 관리 페이지에 들어갈 내용 버전에 맞게 작성하며 섹션에 변경된 페이지 작성 후 Description으로 변경된 내용을 작성한다. 중간 페이지에 들어갈 내용 - 대체로 BG는 회색으로 작성 - 중간 페이지가 들어가는 섹션 명을 작성 - 중간 타이틀 기재 카카오톡 채널 역기획 실습 한 가지 기능을 선정해서 진행한다. 채팅 서비스 역기획 카카오톡 채팅: 카카오 비즈니스에서 제공하는 하나의 독립적..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8주차 학습일지 2: 고객 중심 플랫폼 들어가며 플랫폼 비즈니스, 플랫폼이 어떻게 사업을 창출해 내는지 살펴보고 그 과정 내에서 사용자와 파트너를 고려하는 방법과 이유에 대해 알아본다. 1. 플랫폼 비즈니스란? 플랫폼이란?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가 가능하도로 구현된 생테계 플랫폼은 각자의 비즈니스 전략, 프로덕트 방향성, 사용자 카테고리, 공급자 카테고리 등에 맞춰 각자에 맞는 성장 사이클을 만들어서 더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더 나은 설루션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요자와 공급자 간의 거래를 촉진하여 특정 가치를 포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비즈니스 모델 공급자, 수요자에 편향된 서비스를 제공해서는 되지 않으며 많은 이해관계자의 니즈를 충족하는 것이 필요하다. 플랫폼 성장 사이클 플랫폼 비즈니스란? 생태계를 구축하고 수요..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8주차 학습일지 1: 이미지 파일 종류와 특성 알아보기 들어가며 이미지 파일의 종류와 특성을 톺아본다. 그리고 디자이너와 협업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본다. Lossless (손실 없는) 이미지를 압축해도 퀄리티 손실이 발생하지 않는다. Lossy (손실되는) 이미지를 압축할 경우 퀄리티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반복해서 압축할 경우 점점 이미지 퀄리티가 나빠진다. Indexed Color Color map으로 제한된 256가지의 색상 팔레트로만 저장할 수 있다. Direct Color 제작자가 직접 선택하지 않은 수천 가지의 색상을 저장할 수 있다. 이미지 파일 종류 및 특성 BMP Lossless / Indexed and Direct Bit들의 Map으로 아주 오래된 파일 형태이다. 파일 사이즈가 크다. 윈도 프로그램이나 초기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했으나, 최..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7주차 학습일지 3: 나를 소개하는 앱 서비스 기획하기 들어가며 이번 포스팅은 아주아주 티끌 같은 토이 프로젝트, 나를 소개하는 앱 서비스 기획을 해보려고 한다. 기획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문서들을 해당 앱 서비스 기획을 통해 작성해 보고 현업자의 마음가짐을 세팅하려고 한다. 서비스 개요 '대'자기 PR의 시대에 나를 PR하고 개인을 브랜드화하기 위해 나를 소개하는 앱 서비스를 제공한다. 'Device only' 트렌드에 발 맞춰 자신을 언제든지 PR 하고 정리할 수 있는 앱 서비스를 만들고자 한다. 기획 목적 '나'라는 사람을 소개하고 나 스스로가 삶을 돌아보고 정리할 수 있다. 기대 효과 해당 서비스를 통해 '나'라는 사람이 살아온 삶을 어느정도(약 70%) 이해할 수 있다. 주요 기능 나의 소개 나의 경력 나의 활동 나의 미래 를 설명하는 화면을 구현..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7주차 학습일지 2: 포트폴리오 작성 방법 포트폴리오란? 자신의 이력이나 경력 또는 실력 등을 알아볼 수 있도록 자신이 과거에 만든 작품이나 관련 내용 등을 모아놓은 자료 묶음, 작품집으로 실기와 관련된 경력 증명서 기획자로의 목표 설정 1. 기획자의 요구 능력 왜 기획자가 되려고 하는가? 나의 능력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자기 자신을 알고 나의 능력은 무엇이고 어떤 부분을 보완해야 하는지 생각해 보는 것이 중요하다. 기획자는 현황을 파악해 문제점을 발견하고 개선 방향을 수립해 개선을 실행하는 사람이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스킬이 필요하다. → 조직적 분석/설계 스킬 → 문제 해결 스킬 → 커뮤니케이션 스킬 2. 기획자의 유형 어떤 기획자로 성장하고 싶은가? 1. Web/App 기획 UIUX 중심의 서비스 기획 Web/App Paper Wor..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7주차 학습일지 1: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4 들어가며 화면 정의서 안에 들어가는 내용들을 살펴본다. 1. 버전 화면 정의서 안에는 UI만 변경한 것들도 정의를 해줘야 한다. → 디자이너가 바뀐 UI를 알아야 한다. 용어 수정 시 변경한 내용을 작성해야 한다. 2. 서비스 개요 다음과 같은 내용을 작성한다. 기획 배경 기획 목적 기대 효과 주요 개선 요구 사항 기타 요구 사항 3. 사용자 환경 1 개선하는 방향과 환경 등을 작성한다. PC ex) chrome, Safari, Opera, Whare 최신 버전 Moblie Android 8.0 이상 iOS 14.0 이상 3-1. 사용자 환경 2 해상도에 따른 기준을 작성한다. 해상도 기준: PC 1600*900 (최소 사용자 기준) 표준 사용환경일 대 세로 스크롤 생성되지 않음 브라우저 축소나 확장에 ..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6주차 학습일지 3: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3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IA (Information Architecture) AS-IS의 문제점들을 정리 정보구조가 비체계적으로 구성된 서비스는 사용자가 헷갈린다(논리적이고 체계적 구조를 가져야 하는 이유). 개선 방향을 포함한 목적, 방향 설정 서비스가 복잡할수록, 목적과 방향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벤치마킹을 통해 타사의 정보구조 참고 동종업계, 리더그룹이 어떤 정보구조를 가져가고 있는가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서비스의 전략과 방향을 반영한 구조 서비스 용어 및 운영 프로세스 구조 정의 큰 프로젝트는 다양한 팀이 모듈별로 업무를 담당하여 같은 기능을 다른 용어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것이 사용자를 혼란스럽게 할 수 있음 서비스 용어 정리한 용어집 제공 등의 방식으로 수행하지만 용어 통일..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6주차 학습일지 2: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2 서비스 분석 알아보기 서비스 분석 방법 1 1. 사용자 측면 제공되는 콘텐츠가 사용자의 주요 관심사인가? 사용자들에게 필요한 요소 및 요구하는 사항은 적절히 배치되어 있는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는 유용한 것인가? 2. 서비스 측면 콘텐츠의 우선순위를 나눌 수 있는가? (=메인 / 서브 콘텐츠가 있는가) 무엇이 중요한 콘텐츠이며 빠진 콘텐츠는 없는가? 서비스의 동선이 존재하며 목적지까지는 쉽게 갈 수 있는가? 집중해서 제공해야 하는 서비스에 시간적인 변화를 제공하는가? 카테고리 별로 나누어 보는 서비스 분석 방법 서비스 분석 방법 2 1. 브랜딩 폭 넓은 인지도를 가지고 신뢰성을 전달하고 있는가? 기업의 경영철학, 목표를 바르게 전달하고 있는가? 기업의 아이덴티티를 사용자에게 가치 있고 신뢰할 수 ..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6주차 학습일지 1: 서비스 기획서 작성하기 1 서비스 기획서란? 서비스 기획서 = 화면 설계서'만'은 아니다. 현재 상황(=ASIS)을 분석해야 한다. 경쟁사 트렌드 벤치마킹 현업&사용자의 요건 분석: 서비스 담당자, 팀장 등의 요구사항,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분석해야 한다. → 이를 통해 TOBE(=서비스 기획서)를 만드는 것 요구사항 분석, 정책, IA, UX/UI, 프로세스가 포함되어 있어야 한다. 서비스 기획서 작성 내용 1. 현황 분석, 타사(경쟁사), IA 분석, Function 분석을 통해 인사이트 도출 IA 분석 Depth, 업데이트 주기 등을 파악해서 요즘 서비스의 구조를 파악한다. UX/UI 요즘 서비스의 UX/UI를 파악한다. 기능 ex) 회원 가입을 직접 진행하기보다는 간편 회원 가입(API) 같은 의미 2. 1에서 도출된 문제점..
[제로베이스 PM 스쿨 21기] 5주차 학습일지 3: 5주차 회고 이번주 과제를 진행하면서 개인적으로 굉장히 아쉬운 부분이 하나 있었다. 5주차 LMS 과제 주제가 바로 '벤치마킹'을 통한 Key 서비스 개선안 도출해 보기였다. 처음 과제를 읽어봤을 때는 잘 몰랐는데, 과제를 해보니 현업에서 특히 처음 회사에 입사해서 가장 먼저 할 법한 업무였던 것 같다. 개인적으로 생각했을 때 정말 '중요한 작업물'이었다. 잘 만들었으면 포트폴리오에 넣어도 좋겠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처음에 삽질을 좀 많이 했다. LMS 과제만 있는 게 아니다 보니 시간적 여유도 많이 부족했다. (물론 한정된 시간 속에서 더 효율적으로 잘하는 사람들도 많겠다만.. 나는 정말 일주일 꽉꽉 채워서야 간신히 주차별 과제를 끝내고 있다.) 내가 이렇게나 비효율적인 사람이었나라는 자괴감도 잠시, 걱정할 시간도..